Home
닫기
포인트
> 항구 / 해수욕장
조황
- 전국은지금
- 오버데어
- 명예의전당
- 앨범
날씨
- 기상특보
- 해상예보
- 물때예보
- 실시간바다
- 지역예보
포인트
- 생활포인트
- 플레이스
토크
- 이야기
- 조행기
- 지식인
지식
- 어류도감
- 영상실록
- 용어사전
- 지식네트워크
- 조구사
고객센터
AM 00
:
00
홈
조황
날씨
포인트
토크
지식
고객센터
전국은지금
오버데어
명예의전당
앨범
기상특보
해상예보
물때예보
실시간바다
지역예보
생활포인트
플레이스
이야기
조행기
지식인
어류도감
영상실록
용어사전
지식네트워크
조구사
항구
해수욕장
바다갈라짐
로그인
회원가입
지도 열기
1월18일
음) 12.06
12물
전체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강원
제주
서울
인천
부산
대전
광주
지역아이콘
경인항
인천 서구
인천항 북측의 영종대교 끝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안해운과 내륙수운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물류 및 레저,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고, 경인아라뱃길을 이용하는 수출입 선박의 원활한 입출항 서비스를 지원하기위해 최근 개항되었다. 경인아라뱃길은 길이 18km, 폭(최소구간)80m 이상, 평균수심 6.3m이상, 인천터미널 갑문 2기의 시설로 되어있다.
국가관리무역항
1302
지역아이콘
군산항
전북 군산시
군산항은 서해 중부권을 대표하는 무역항(1899. 지정)으로 1990년대부터 중국 및 러시아의 교역량 증가에 따라 군장신항만 개발이 추진되어 현재 내항과 1~7부두의 시설을 갖춘 외항으로 이뤄져있다. 이중 내항은 수심이 낮아 소형선박이나 어선이 주로 이용하며, 어업인구 2,500여명, 어선 1,740여척을 보유하고 갈치, 아귀, 꽃게, 병어, 조기 등이 어
국가관리무역항
1891
지역아이콘
대산항
충남 서산시
대산항은 대산공단을 중심으로 위치한 무역항(1991. 지정)으로 현대오일뱅크, 삼성토탈, 씨텍 등 3사의 항만시설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왔으나 2006년 충청권 최초의 공용부두가 준공됨에 따라 서해중부권의 종합물류중심지로 급부상했다. 2011년에는 대산항 1단계 2차공사의 준공으로 2만DWT, 3만DWT, 2000TEU 부두 등 총 3석을 추가로 개장하였다.
국가관리무역항
1431
지역아이콘
동해항
강원 동해시
동해항은 `79년 2월 8일 개항한 도내 최대 무역항으로서 입지조건상 천연항이 아닌 인공굴입식 항만이며, 주로 시멘트, 유연탄과 석회석을 국내외에 수송하고 있고, 배후산업단지와 주변 고속도로 등 교통망 연계 및 한·러·일 연결 국제여객선 운항으로 북방교역 및 동북아 물류 거점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출처: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국가관리무역항
511
지역아이콘
마산항
경남 창원시
마산항은 높은 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싸인 리아스식 해안의 수려한 경관을 갖고 있고, 한반도의 동남단, 경상남도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다. 특히 마산항은 자연적, 지리적 여건을 갖춘 천혜의 양항으로 1899년에 개항한 이래 지속적인 투자를 하며 남해, 구마고속도로 등 잘 발달된 배후수송망과 연간 1천만톤 이상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최신 항만시설을 갖추고 일본
국가관리무역항
977
지역아이콘
목포항
전남 목포시
목포항은 우리나라 남서부에서 가장 큰 무역항(1897. 개항)으로서 호남지역의 관문이다. 외항, 내항, 북항, 신항 등으로 구분되며, 대불국가공단 전면에 용당, 쌍용부구가 축조되어 있고 남측에는 신항만이 건설 중이다. 전국 연안여객 이용객의 39%를 처리하는 해양관광의 거점이자 바다낚시, 요트 등의 해양레저가 발달된 항으로 어업인구 16,000여명, 어선
국가관리무역항
1495
지역아이콘
묵호항
강원 동해시
묵호항은 1936년부터 삼척 일대의 무연탄을 실어 나르는 조그만 항구에서 1941년 국제 무역항으로 개항되어 1976년 대규모 확장공사를 통해 석탄 하역시설과 부두, 방파제 등의 보강이 이루어졌으며, 주요 물동량은 석탄과 무연탄, 수산물 등이다. 묵호항이 개항된 지 70년이 지나면서 항만 기능이 노후되어 정부 차원의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이와
국가관리무역항
808
지역아이콘
여수항
전남 여수시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주둔했던 여수항은 1923년 개항하였으며, 개항질서법상으로는 1949년에 개항하였다. 1967년 1종항으로 지정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구항과 신항으로 구분되는데, 구항은 연안어업 및 여객수송을 담당하고 있으며, ‘2012여수세계박람회’개최지인 신항은 국제 해상관광 거점으로 발전하고 있다. [출처: 여수광양항
국가관리무역항
947
지역아이콘
울산항
울산 남구
1963년 9월 25일에 개항장으로 지정된 이래 1975년에는 온산항 및 미포항을 항계에 포함해 항세가 크게 확장되었다. 게다가 국내 주요공업단지인 울산공업단지가 조성됨에 따라 원자재 및 제품 수송을 위한 항만시설의 확충이 시급히 필요하게 되자 대대적인 공업항의 건설이 시작되어 울산항과 온산항은 중화학공업의 지원항만으로 급성장하였다. 미포항은 제2차 경제개
국가관리무역항
368
지역아이콘
인천항(남항)
인천 서구
인천 중구에 있는 항구로 항내수면적(港內水面積) 276만㎡이며 항만법상 1종항이고 수도 서울의 관문인 동시에 중부지방을 세력권으로 하는 서해안 최대의 상항(商港)이다. 인천항으로 하여금 근대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하기 위하여 항만 건설에 착수한 것은 1906년이었다.
국가관리무역항
488
지역아이콘
인천항(내항)
인천 서구
인천 중구에 있는 항구로 항내수면적(港內水面積) 276만㎡이며 항만법상 1종항이고 수도 서울의 관문인 동시에 중부지방을 세력권으로 하는 서해안 최대의 상항(商港)이다. 인천항으로 하여금 근대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하기 위하여 항만 건설에 착수한 것은 1906년이었다.
국가관리무역항
412
지역아이콘
인천항(북항)
인천 서구
인천 중구에 있는 항구로 항내수면적(港內水面積) 276만㎡이며 항만법상 1종항이고 수도 서울의 관문인 동시에 중부지방을 세력권으로 하는 서해안 최대의 상항(商港)이다. 인천항으로 하여금 근대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하기 위하여 항만 건설에 착수한 것은 1906년이었다.
국가관리무역항
725
지역아이콘
인천항(연안항)
인천 서구
인천 중구에 있는 항구로 항내수면적(港內水面積) 276만㎡이며 항만법상 1종항이고 수도 서울의 관문인 동시에 중부지방을 세력권으로 하는 서해안 최대의 상항(商港)이다. 인천항으로 하여금 근대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하기 위하여 항만 건설에 착수한 것은 1906년이었다.
국가관리무역항
461
지역아이콘
장항항
충남 서천군
군산시의 북서쪽 마주보이는 금강하류 해안에 위치한 무역항(1938. 지정)이다. 시가지의 전면은 호안이 축조되어 있고, 군산, 장항지구의 신도시 개발 및 공단건설에 따른 수출입 및 연안화물을 원활이 처리하는 광역항만으로 발전하고 있다. 주요 취급화물은 시멘트, 비료, 원목 등이며, 소형선은 주로 어선물양장을 이용한다. 어업인구 750여명, 어선 230여척을
국가관리무역항
1382
지역아이콘
평택·당진항
경기 평택시
평택·당진항(平澤·唐津港, Pyeongtaek-Dangjin Port)은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과 당진시 신평면 매산리에 위치한 항만이다. 지리적으로 당진시과 서해대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기반시설이 화성시까지 확장되어 있다. 평택시에 인접한 아산만을 매립하여 조성되었다. 공사 당시에는 아산항으로 불리기도 했다. 2004년 헌법재판소의 권한쟁의 심판으로 서
국가관리무역항
1386
지역아이콘
포항항
경북 포항시
자연적인 조건과 입지적인 여건이 양호한 포항항은 한반도의 동남부에 위치하여 대구,경북 일원의 관문역할을 하며, 포스코 등 배후 철강공단을 지원하는 신항과 모래,유류 등을 취급하는 구항(송도부두, 여객부두, 화물부두 및 동빈부두) 그리고 2009년 8월 대구, 경북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로 개장한 영일만항이 있습니다. [출처: 포항지방해양수산청]
국가관리무역항
843
지역아이콘
가거도항
전남 신안군
가거도항은 흑산도 남서쪽 약 76㎞, 목포항에서 150㎞에 있는 서해 남서단 어업전진기지의 역할을 하고있는 국가어항(1978. 지정)이다. 주로 어선 등 중?소형 선박이 이용하는 항이며, 근해는 수산자원이 풍부하고 또한 외교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곳이다. 어업인구 200여명, 어선 30여척을 보유하고 주 어종은 돔, 우럭, 장어 멸치, 조기, 전복 등
국가어항
1171
지역아이콘
감포항
경북 경주시
규모가 아기자기하면서도 멋진 등대가 우뚝 솟아있는 감포항은 드나드는 어선이 많은 동해남부의 중심 어항이다. 감포항 방파제는 동해 일출을 감상하기에 좋은 포인트로 예전부터 널리 알려져 왔다. 감포항에는 바다를 전경으로 한 고유의 재래시장이 들어서 있으며 문무대왕릉에서 감포항으로 이어지는 해안도로에도 횟집과 민박집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어 식도락가의 발길을 붙잡
국가어항
1152
지역아이콘
강릉항
강원 강릉시
강릉시 견소동 안목마을에 위치한 어항이다. 그래서 안목항으로 불리다가 2008년 5월에 강릉항으로 개명됐다. 안목은 원래 ‘마을 앞의 길목’이라는 뜻의 ‘앞목’이었으나 점차 발음이 순화되어 ‘안목’으로 바뀌었다.1990년에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안목항은 1991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됐다. 2004년에는 해양수산부의 어촌어항복합공간조성 사업지로 선정됐다.
국가어항
1417
지역아이콘
거진항
강원 고성군
거진항은 38도선 이북(북위 38˚ 26`)에 위치한 건설부지정 제2종 항만이다. 접적지구라는 입지적인 조건 등으로 오지 어촌으로만 여겨왔던 이곳은 지난 1973년 거진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항구 주변에 현대식 고층건물이 들어서 상업도시로 면모를 갖추어 동해북부 어업전진기지로 성장해 가고 있다. 5백여년전 한 선비가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가던 중 이곳에 들
국가어항
1928
지역아이콘
격포항
전북 부안군
격포항은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맨 서쪽에 위치한 국가어항(1986. 지정)이다. 요트계류장, 채석강교, 낚시터 및 전망대를 비롯하여 해안산책 보도교, 회센터, 수산시장 등을 갖춘 다기능어항으로 개발되어 연중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곳이다. 어업인구 750여명, 어선 320여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변해역은 주꾸미, 전어, 꽃게, 갑오징어를 비롯하여 백합, 바지
국가어항
1474
지역아이콘
계마항
전남 영광군
법성포 북서쪽 약 4.5㎞에 위치한 국가어항(1971. 지정)으로 인근 법성항의 기능을 대신하여 칠산어장과 흑산도어장의 어업전진기지 및 외래어선의 대피항으로도 이용되며, 기후조건이 조기 말리기에 적당하여 영광굴비의 원산지로 유명하다. 어업인구 610여명, 어선 70여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근해에서는 병어, 꽃게, 새우, 주꾸미 등이 어획된다.
국가어항
993
지역아이콘
공현진항
강원 고성군
공현진항(公峴津港)은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에 있는 어항이다. 1999년 1월 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는 고성군수이다. 2000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01년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협의 후, 사업에 착수하면서 관광 및 유통기지를 담당하는 다목적 항으로 발전하고 있다. [출처: 위키백과]
국가어항
840
지역아이콘
광암항
경남 창원시
태봉천 하구와 광암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어항(1991. 지정)이다. 앞 바다인 진동만은 우리나라 최대의 미더덕 생산지로서 전국 생산량의 약 70%가 이 일대에서 생산되며 남방파제에는 경남조종면허시험장이 있다. 어업인구 180여명, 어선 70여척이 있다. 주요어종은 도다리, 붕장어, 전어, 꽁치, 대구, 물메기 등이다.
국가어항
1145
지역아이콘
구계항
경북 영덕군
구계항은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구계리에 있는 어항이다. 1971년 12월 2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는 영덕군수이다. 구계는 마을 앞 바위의 모양이 마치 새우가 물에 떠 있는 형상과 같아 하부라 하였는데 이것이 변하여 구배, 구계가 되었다는 설과 마을 뒷산이 거북이 형상이고 깊은 계곡이 있어 구계라는 설이
국가어항
810
지역아이콘
구산항
경북 울진군
구산항은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구산리에 위치한 항구이다. 1991년 1월 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는 울진군수이다. 구민산 아래 근산포에 당나라 장군 구대림이 귀화해 살면서 구산으로 불렸다고 하고 지형이 거북꼬리 같다하여 구미라 했다고 한다. 그 후 1963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기성면에 편입되면서 구산으로
국가어항
1401
지역아이콘
구시포항
전북 고창군
영광군 계마항의 북쪽 약 7.4㎞의 구시포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어항(1999. 지정)으로서 칠산어장에서 조업하는 많은 어선의 긴급 대피항으로서의 역할을 위하여 가막도에 건설중이며 국내 최초로 와인글라스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곳 갯펄은 서해안 갯펄 중에서도 가장 광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어업인구 680여명, 어선 50여척을 보유하고 주된 어종은 주꾸미
국가어항
1223
지역아이콘
구조라항
경남 거제시
거제도 남동쪽 도장포 내의 가장 동쪽 포구인 구조라포에 위치하는 국가어항(1995. 지정)으로 자라의 목처럼 생겼다 하여 조라목, 조라포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다가 현재 구조라항으로 불린다. 항의 배후에는 구조라해수욕장, 전면에는 와현해수욕장이 있어 관광 단지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다. 어업인구 790여명, 어선 160여척이 조업하고, 주요어종은 돔, 방
국가어항
1199
지역아이콘
국동항
전남 여수시
여수항 남서쪽에 위치한 국가어항(1979. 지정)으로 앞 바다 여러 섬들이 풍파를 막아 주어 어항으로서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었다. 또한 주변에 수산물 가공공장과 선박 수리업체 등이 밀집되어 종합 어항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어업인구 1,330여명, 어선 810여척이 조업 중이며 주요수산물은 갈치, 조기, 삼치, 장어 등이다.
국가어항
1524
지역아이콘
궁촌항
강원 삼척시
궁촌항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에 있는 어항이다. 1991년 1월 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는 삼척시장이다. 고려 공양왕이 왕위를 물려주고 원주, 간성을 거쳐 이곳으로 궁궐을 옮겼다하여 `궁촌`이라 부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가래(추천), 대길곡, 선왕, 대흥, 양지, 구마, 갈전의 7개 자연
국가어항
1106
지역아이콘
궁평항
경기 화성시
화옹방조제 수문 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기도의 유일한 국가어항(2008. 지정)이자 대표적인 관광어항으로 인근의 제부도, 전곡항, 화성호 등과 연계한 서해안 관광벨트개발계획으로 개발되었으며, 수도권지역 사람들이 즐겨찾는 바다 여행지이다. 어업인구 520여명, 어선 270여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근해에서는 자망에 의한 꽃게와 멸치, 연승에 의한 농어와 우럭,
국가어항
1482
지역아이콘
금진항
강원 강릉시
금진항은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금진리에 있는 어항이다. 1971년 12월 2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는 강릉시장이다. 금진은 먹진, 흑진으로 불리다가 1916년 행정구역이 변경되면서 금진으로 바뀌었다. 금진을 마을 뒷산이 금자(金字)처럼 생겨 금진이라 했다는 설도 있으나, 실은 `검다`는 뜻의 음을
국가어항
883
지역아이콘
김녕항
제주 제주시
제주항에서 동쪽으로 약 22km 지점에 위치한 국가어항(1991. 지정) 으로 이 어항은 구조가 독특해 동방파제와 서방파제 사이에 왕래가 어렵다. 한치잡이 어선들이 대부분이고 해녀가 많기로도 유명하여 매년 물질의 안전과 수확물의 풍요를 기원하는 ‘잠수굿’을 올린다. 어업인구 80여명, 지방어선 35여척이 조업하며 지역수산물로는 한치, 갈치, 옥돔, 참조기
국가어항
1072
지역아이콘
남당항
충남 홍성군
남당항은 충남 서부면 남당리에 위치하여 천수만을 사이에 두고 안면도와 마주보는 국가어항(1991. 지정)이다. 서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교통여건이 양호하며 전국 최대의 새조개 집산지로도 유명하다. 어업인구 270여명, 어선 30여척이 조업하고 지역 수산물로 새조개, 대하, 우럭, 꽃게 등이 있다.
국가어항
719
지역아이콘
남애항
강원 양양군
남애항은 삼척 초곡항, 강릉 심곡항과 함께 강원도의 3대 미항으로 꼽히는 아름다운 항구이다. 항구 주변에 남애해수욕장과 매호라는 석호가 있어 붕어와 잉어 등 민물낚시는 물론 바다낚시도 즐길 수 있으며, 동해에서 잡은 싱싱한 회도 맛볼 수 있다. 특히, 항구에는 방파제와 등대, 괴암과 크고 작은 소나무섬이 있어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다. 그래서 전국에서 관광객
국가어항
849
지역아이콘
남양항
경북 울릉군
남양항은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남양리에 있는 어항이다. 1999년 1월 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는 울릉군수이다. 서면에 소재하고 있는 남양은 원래 비파산(국수산)을 사이에 두고 동서로 두 골짜기에서 냇물이 흘러내리고 있어 다른 마을보다 골짜기와 시내가 많다고 하여 골계라 불렸으며, 이규원 일기에는 곡포로
국가어항
672
지역아이콘
남포항
경남 고성군
고성만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 국가어항(2008. 지정)으로 남포항은 ‘남쪽 바닷가의 포구’라는 뜻이다. 지방어항에서 국가어항으로 변경 되면서 다기능 복합어항으로 개발되어 물류, 가공시설 등 어항기능의 고도화와 함께 해양관광시설이 들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어업인구 50여명, 어선은 40여척에 달하며, 주요 수산물은 보리새우, 도
국가어항
826
지역아이콘
낭도항
전남 여수시
여자만 초입에 분포한 섬 중에 가장 큰 낭도에 위치한 국가어항(1991. 지정)으로 섬 인구수에 비해 어항의 규모가 크다. 여수 서쪽의 수산업 중심지로 이곳에서 잡는 멸치는 품질이 뛰어나 여수에서도 낭도 멸치는 인기가 있다. 어업인구 210여명, 어선 70여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주요 어종으로는 멸치, 조피볼락, 돔류 등이 잡히며 김, 굴, 피조개 등의 양식
국가어항
1458
지역아이콘
노량항
경남 하동군
하동군과 남해도를 잇는 노량대교 서쪽에 위치하는 국가어항 (2008. 지정)으로 국가어항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복합다기능어항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섬들이 바다를 둘러싸고 태풍이나 적조가 없어 어류 양식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어업인구 380여명, 어선은200여척이 조업 중이며 주요수산물은 숭어, 바지락, 굴, 전어, 노래미 등이 있다.
국가어항
632
지역아이콘
녹동항
전남 고흥군
소록도 맞은 편에 위치하는 국가어항(1971. 지정)으로서 고흥군의 각 섬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항을 이용하는 인구가 1만명이 넘을 정도로 규모가 큰 어항으로 고흥 남부지역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어업인구1980여명, 지방어선 750여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지역 수산물로는 낚지, 문어, 활어 등이다.
국가어항
1926
지역아이콘
능양항
경남 통영시
통영 앞바다 사량도의 하도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어항(1971. 지정)이다. 삼면이 산자락에 둘러싸인 데다가 앞 바다에 화도, 잠도가 항구로 밀려드는 파도를 막아주어 어항으로서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었다. 또한 근해에 수산자원이 풍부해서 예전부터 연안어장의 중심어항으로 자리잡았다. 어업인구 40여명, 어선 30여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주요어종은 볼락,
국가어항
1012
지역아이콘
능포항
경남 거제시
옥포만과 장승포항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어항(1971. 지정)으로 바로 옆의 옥포만에는 세계 유수의 조선 업체인 대우조선해양이 들어서 있고, 항구의 삼면에는 도시 주택가와 아파트가 우뚝하다. 어업인구 300여명, 어선 70여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다. 주요 수산물로는 보리새우가 유명하고, 볼락, 도다리, 물메기, 우럭, 아귀 등도 많이
국가어항
1216
지역아이콘
다대다포항
경남 거제시
거제도의 남쪽에 호리병처럼 잘록한 지형이 형성돼 있고 그 병목의 동쪽해안에 옴폭한 내만을 사이에 두고 다대리와 다포리에 걸쳐 다대다포항(1991. 국가어항으로 지정)이 들어서 있다. 다포항이 순수어항의 분위기가강하다면 다대항은 관광어항의 기능이 더 두드러진다. 다포리에는 어업자원 조성과 수산종묘를 위해 설치된 국립수산과학원 어류육종연구센터가 있다. 어업인구
국가어항
1188
지역아이콘
다대포항
부산 사하구
부산항의 남서쪽, 대다포 북서쪽으로 만입한 곳에 위치하는 국가어 (1971. 지정)으로 동쪽을 제외한 삼면은 육지로 둘러싸여 있다. 부산시 생활권내에 있어 좋은 입지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주로 연안 어획물을 취급하고 있다. 어업인구 640여명, 어선 350여척이 조업하며 주요어종은 고등어, 방어, 전어, 참가자미, 아구, 바다장어 등이다.
국가어항
444
지역아이콘
대변항
부산 기장군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다. 조선시대에는 대동고(大同庫)라는 창고가 근처에 있었다고 한다. 대동고는 지방 관아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백성들에게 거둔 돈이나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였다. 이곳 지명도 원래는 ‘대동고 주변의 포구’라는 뜻에서 ‘대동고변포’(大同庫邊浦)라 불렸다가 훗날 ‘대변포’로 바뀌었다. 1971년에 구가어항에 지정되었으
국가어항
780
지역아이콘
대보항
경북 포항시
대보항이 위치한 호미곶은 동ㆍ서ㆍ북쪽 3면이 바다에 접해 있고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해역으로 각종 물고기의 회유지로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고, 오징어, 꽁치, 고등어, 김, 미역, 전복, 성게 등 각종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래 `동명`으로 불리다가 `태부`로 개명된 후 다시 `대부`로 개칭하여 오늘날 대보항의 이름을 얻게 되었다. 1971년 국가어항으로 지
국가어항
1076
지역아이콘
대진항
강원 고성군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한 항구입니다. 대진리(大津里)위치 : 대진리(大津里)는 동해안 최북단 면소재지이며, 동쪽은 동해, 서쪽은 마달리, 북쪽은 마차진리, 남쪽에는 초도리, 철통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마을유래 : 처음엔 대범미진이라 불렀고, 그후 安씨와 金씨가 개척하였다고 해서 안금리(安金里)라고 칭하다가 고려시대에는 여산현(驪山縣), 그 후에는 열산현(
국가어항
1036
지역아이콘
대진항
경북 영덕군
대진항은 영덕군 영해면 대진리에 있다.17세기 중엽에 김해김씨 김해은이라는 사람이 처음 개척했다고 전해진다. 마을의 지형은 하늘을 나는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듯한 형국, 즉 비봉포란지형(飛鳳抱卵之形)의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971년에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대진항은 1983년에 기본시설이 완공되었다. 그리고 1993년는 정비계획이 수립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가어항
1292
지역아이콘
대포근포항
경남 거제시
거제도 저구리만 북동쪽의 대포와 근포마을에 걸쳐 위치해 있는 국가어항(1999. 지정)으로 국가어항 지정시 대포항으로 되었다가 지역어업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2008년 대포근포항으로 이름이 변경 되었다. 어업인구 260여명, 어선 110여척에 조업하며, 주요어종은 광어, 농어, 돔, 볼락, 숭어, 가자미 등이다.
국가어항
1822
지역아이콘
대포항
강원 속초시
설악산 기슭의 깨끗한 바닷가에 자리잡은 대포항은 남쪽에서 속초시로 들어오는 관문이라 할 수 있으며 설악산이 두드러진 관광지로 바뀜에 따라 고급생선의 집산지로 유명하게 되었다. 그러나 속초가 개항되기 이전에도 설악산이 있었던 것처럼 속초가 알려지기 전에 이미 대포항은 널리 소개되었던 곳이다. 일제 때는 물론이고 6.25 사변을 전후로 이 시기에 발행된 우리나
국가어항
643
지역아이콘
덕산항
강원 삼척시
덕산항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어항이다. 1971년 12월 2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는 삼척시장이다. 덕봉산 밑에 있다하여 덕산리라고 불리던 덕산리에 위치한 덕산항은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며 겨울철 볼락 배낚시의 출항지이며, 사동마을 남쪽 모래밭(북방파제)에서는 가자미, 노래미를 많이 낚을 수
국가어항
1791
지역아이콘
덕적도항
인천 옹진군
덕적도 북쪽해안 중앙부에 위치한 국가어항(1971. 지정)으로서 어업인구 80여명, 어선 40여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꽃게, 우럭, 넙치, 병어 등이 어획된다. 덕적군도 내의 어업근거지이자 기상악화시에는 선박의 긴급 대피처로 이용된다. 성어기에는 덕적도서방어장에 각지에서 많은 어선이 모여든다.
국가어항
1268
지역아이콘
도두항
제주 제주시
제주항 서쪽에 위치한 국가어항(1976. 지정)으로 도두항은 어선과 낚싯배뿐만 아니라 관광유람선, 요트 등도 함께 이용하는 다기능 복합 어항이다. 새벽과 아침에는 어선과 낚싯배들이 분주하게 들락거리고, 한낮에는 요트가 해가 진 뒤에는 관광유람선이 운항한다. 어업인구 150여명, 어선 50여척이 조업하며 주요수산물은 갈치, 한치 등이다.
국가어항
1329
지역아이콘
도장항
전남 완도군
평일도의 북서부에 있는 국가어항(1999. 지정)으로 이 항은 입구가 북서쪽으로 열려있어 천연적으로 내습 파랑이 적고 항내 수역이 넓어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어업인구 410여명, 지방어선 115여 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주요수산물은 돔, 농어, 다시마, 전복, 김, 미역, 톳 등이다. 특히 완도군은 전국 다시마 생산량의 70%를 생산한다.
국가어항
884
지역아이콘
돌산항
전남 여수시
여수 돌산도 남서쪽에 위치한 국가어항(1971. 지정)으로 항의 서쪽은 가막만 앞쪽은 송도와 접하고 있으며, 인근에는 많은 섬들이 산재되어 외해의 파도를 막을 수 있는 자연적인 어항이다. 어업인구 1000여명, 어선 850여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주요수산물은 우럭, 장어, 돔, 전복, 낙지 등이다.
국가어항
1109
지역아이콘
득암항
전남 장흥군
조약도 남서쪽에 위치한 국가어항(1991. 지정)으로 이 항이 위치한 조약도는 산에 약초가 많아 “약을 수북이 담을 정도로 일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인근 다도해 해역에서 조업하는 어선들의 어업전진기지 및 대피항으로 이용되고 있다. 어업인구 460여명, 지방어선 100여척이 조업하며 주요어종은 멸치, 도미 등이며 특산물은 멸치로 10척이 넘는 어선이 멸
국가어항
1207
지역아이콘
마량항
전남 강진군
강진만 끝자락, 고금도 북쪽에 위치하는 국가어항(1971. 지정)으로 이 항은 해상교통의 요충지로써 완도군 금일, 약산, 고금 등 인접지역을 연결하는 해상관문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어업인구 4,180여명, 지방어선 390여척이 조업하며 주요어종은 돔, 농어, 우럭, 낙지 등이다.
국가어항
606
지역아이콘
말도항
전북 군산시
고군산군도 제일 북서쪽의 섬인 말도의 남서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 어장에서 조업하는 어선들의 대피항으로서의 기능은 물론, 중간보급기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국가어항(1999. 지정)이다. 섬의 전 해안이 조황이 좋아 낚시꾼들의 방문이 많고 관광명소인 말도등대가 있는 이 어항은 어업인구 30여명, 어선 10여척을 보유하고 주 어종은 우럭, 방어, 붕장어 등이며
국가어항
1691
지역아이콘
매물도항
경남 통영시
거제도 남서단 망각산으로부터 남쪽 약 6.8km, 매물도 북서쪽에 위치하는 국가어항(1991. 지정)으로 인근 홍도어장의 악천우시 가장 빨리 대피할 수 있는 어항이다. 그리고 아직까지 현업에 종사하는 해녀들이 있어 자연산 김, 미역 등의 해조류도 채취된다. 어업인구 75여명, 어선 10여척이 조업하며, 주요어종은 삼치, 가자미, 볼락, 참돔, 농어 등이 있
국가어항
712
지역아이콘
맥전포항
경남 고성군
사량도 북서쪽으로 약 5.3km에 위치하는 국가어항(1975. 지정)으로 대표 수산물은 마른 멸치이다. 운반선, 조업선 등을 포함해 최소한 5척 이상으로 구성되는 멸치잡이 선단(7개)과 가공공장(7개소)이 자리하고 있다. 멸치 생산량은 전국에서도 최고로 손꼽힌다. 어업인구는 400여명, 어선은 190여척이 조업하며, 주요수산물은 멸치, 낙지, 문어, 전어,
국가어항
1022
1
2
3
4
5
6
7
8
9
10
맨위로